본문 바로가기
Ben의 주식 투자/주식투자 공부

공매도란 무엇 일까?? 공매도의 개념과 이해

by One달러 2022. 3. 19.
반응형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 보았을 단어가 '공매도'이지만 일반 개인 투자자에게는 친숙하지 않은 단어가 '공매도' 이기도 하다. 그럼 공매도가 무엇인지, 왜 존재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매도의 개념과 이해

​'매도'는 무엇인가를 판다는 뜻이다. 흔히 '판다'라는 것은 내가 가진 것을 제3자인 누군가에게 일정 대가를 받고 그 소유권을 넘기는 행위를 말한다. 그러니 팔고 나면 나에게 있던 소유권이 타인에게 넘어가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공매도는 이와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빌 공(空), 한마디로 내가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남에게 판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내가 소유하고 있지 않은 주식을 어떻게 팔수 있을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공매도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차입 공매도' 와 '무차입 공매도'입니다.

차입 공매도

타 기관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빌린 주식을 매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갑이라는 투자자는 A라는 기업의 주가가 머지않아 하락 하리라고 예측하고 증권사에서 A 회사 주식 1주를 빌려 옵니다.

증권사에서 빌려 올 때 한 주당 가격은 1,000원이었습니다. 갑은 A 기업의 주가가 떨어질 것이라 예측하였기에 증권사에서 빌려온 주식 1주를 1,000원에 매도합니다. 그 후 갑의 예측대로 A 기업의 주가는 500원까지 하락하게 됩니다.

그리고, 갑은 A 회사의 주식 1주를 500원에 다시 사들이고, 그 주식을 증권사에 다시 돌려줍니다. 갑은 이 매매 과정에서 500원의 시세 차익을 남겼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공매도 즉'차입 공매도' 기본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투자한 주식의 가격이 올라 갈수록 이익도 늘어나지만, 차입 공매도는 내가 빌린 주식의 가격이 올라 갈수록 더욱 많은 이익을 얻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무차입 공매도

주식을 전혀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는 매도를 말하며, 공매도 수량 등에 대한 제한이 없는 투기적 거래를 말합니다.(2000년 4월에 공매도한 주식이 결 제 되지 않는 사태를 계기로 금지되었습니다.)

공매도의 장단점

장점
공매도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갑론을박 여러 가지 의견이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공매도가 특정 주식의 주가가 단기적으로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매도 주문을 증가시켜 주가를 빠르게 정상 수준으로 돌아가게 하는 기능을 하며,

부정적인 정보 등이 있을 때 공매도에 의해서 주가 하락이 촉진되고, 주가를 빠르게 조정하여 증권시장의 효율성을 높인다고 분석합니다.

주가가 상승할 때는 공매도가 매도 수요를 증가시키고, 주가가 하락하면 매수 수요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증권 시장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주식시장의 과열과 거품을 막아 적정 주가 발견에 도움을 줍니다.

이것이 공매도의 순기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단점
간단하게 말하자면, 주가 조작과 채무 불이행을 유발하여 증권시장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의 경우, 주가가 하락을 해야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기업에 관한 거짓 정보, 나쁜 소문 등을 조작 유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매도 투자자의 예상과 달리 공매도 후 주가가 급등하게 되면 공매도 투자자의 손실 부담이 과도해져 채무 불이행과 주식 대여기관에 대한 주식 반환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흔히 개미'라고 불리는 개인 투자자의 경우, 증권사로부터 주식을 빌리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증권시장의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세계 여러 나라들은 왜 주식 공매도 규제를 할까?

최근의 코로나19등으로 인해 증권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졌을 경우, 대량 공매도 등이 발생하면 투자자 과민을 유도해 증권시장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한 주식 시장의 건정성과 안정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