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en의 건강한 생활/Ben의 건강 정보

비만과 당뇨병 환자가 코로나 중증화로 이어지는 원인을 규명, 비만과 당뇨병, 코로나의 새로운 치료 시대를 열다.

by One달러 2023. 1. 27.
반응형

 

지금 까지 원인을 알 수 없었던 비만 및 당뇨병환자가 일반인과 비교해서 신형 코로나가 중증화되기 쉬워지는 메커니즘이 밝혀진 것으로 보인다.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전신에 염증이 발생하거나, 그것이 과잉반응 하게 되면, 면역력의 폭주라고도 불리는 「사이토카인스톰」이 일어난다.

연구진은 이 사이토카인 스톰을 억제하고 바이러스 등의 감염을 일으키는 전신의 염증의 쇼크를 막는 분자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그것은 바꿔 말하면, 비만이나 당뇨병의 사람에게, 이 분자를 보충하는 것으로, 신형 코로나의 중증화나 사망을 막을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비만및 당뇨병 환자의 신형 코로나는 왜 중증화 메커니즘

비만과 당뇨병은 신형 코로나를 포함한 여러 감염증으로 인한 중증화 위험도가 높은 기초 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일단 바이러스나 세균등에 감염되게 되면, 그것에 대항해 염증 반응이 전신에 발생하는 패혈증 증상을 보이게 된다.

연구진은 면역을 조절하고 세포가 방해를 받을 때 방출되는 'S100A8'가 염증반응을 일으켜 사이토카인 스톰을 억제하고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으로 전신에 발생하는 '염증 쇼크'로 인한 사망을 막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비만이나 당뇨병 환자는 염증반응이 일어나도 'S100A8'을 만들어낼 수 없기 때문에 패혈증 쇼크가 발생하여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을 알아냈다. 

 

 

「사이토카인」은, 감염증의 시작점이되어, 염증 세포(마크로파지나 림프구 등)나 혈관 내피 세포 등으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인데, 이 사이토 카인은 면역을 조절하는 생리 활성 물질로 바이러스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생체 방어'를 담당하고 있다.

감염의 정도가 높아지면 염증 반응이 과잉이 되어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대량으로 혈액 중에 방출된다. 이것이, 「사이토카인스톰」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면역 폭주라고도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비만이나 당뇨병이 있는 실험쥐에게 'S100 A8'을 투여함으로써 패혈증 쇼크로 인한 사망을 억제할 수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패혈증에 대한 유효한 치료법은 적고, 특히 비만이나 당뇨병 환자에게서 중증화되기 쉬운 것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었는데, 이번 연구로인해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S100A8' 의 투여로 생존율이 개선

비만이나 당뇨병환자에게는 신체의 다양한 장기에서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 등에 의해 세포가 타격을 받았을 때, 세포는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알라민이나 DAMPs라고 불리는 분자 군을 세포로부터 방출한다.

지금까지 당뇨병환자는 인슐린을 만들어내는 췌장의 췌도에 있는 췌β세포에서도, 알라민의 하나인 'S100 A8'이 생산되어, 췌도의 염증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어 왔다.

'S100 A8'은 감염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었지만, 비만이나 당뇨병 환자에게서 'S100 A8'과 감염과의 관계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한편, 비만및 당뇨병이 있는 실험쥐가 감염증이 없는 상태에서는 혈액 중의 'S100 A8'이 비만 및 당뇨병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면역세포에서 S100A8 유전자가 없는 실험쥐에서는 염증반응 시 'S100 A8'을 면역세포가 생산할 수 없고, 패혈증 쇼크로 인해 사이토카인스톰이 악화되어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비만및 당뇨병 상태에 있는 실험쥐에게 'S100 A8'을 투여하면, 패혈증 쇼크로 인한 사이토카인 스톰을 억제할 수 있어서 생존율 또한 올라가고, 치료나 중증화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비만이나 당뇨병이 염증반응으로 인해서 중증화되기 쉬워지는 새로운 메카니즘을 파악하고 'S100 A8'을 적절히 투여하는 것이 염증반응의 치료나 중증화 예방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