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en의 건강한 생활/Ben의 건강 정보

'여성의 폐경 후', 당뇨병 예방은 요산 수치가 결정한다?! 여성의 당뇨병 예방과 요산 수치의 연관성.

by One달러 2022. 10. 5.
반응형
 

일본의 국립 순환기질환 연구센터는 도시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폐경 전후 여성의 혈청요산치와 당뇨병 위험과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혈청 요산치가 높으면 당뇨병 위험도는 폐경 전 여성의 경우 1.56배, 폐경 후 여성은 2배로 상승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고 한다.

연구 결과는 북미 폐경 학회의 공식 저널인 'Menopause'에 게재되었다. 생활습관과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당뇨병 환자수는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고에 따르면 '당뇨병이 강하게 의심되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 19.7%, 여성 10.8%였다. 여성의 비율은 남성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갱년기 이후 여성 호르몬의 감소로 인해서 인슐린의 작용도 약해지기 때문에 당뇨병 발병 위험이 급속히 증가한다.

또한, 갱년기 이후 여성의 또 다른 변화로는 여성 호르몬 감소로 인한 요산치의 증가이다. 여성 호르몬은 요산 수치를 조절하기 때문에 폐경 전 여성의 요산 수치는 낮지만, 폐경 후에는 여성 호르몬의 감소로 인하여 요산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요산 수치가 증가하는 고뇨산혈증은 당뇨병에 대한 위험 인자이기도 하다.

반응형

국립 순환기병 연구 센터가 1989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이 연구는, 도시에 거주하는 30~79세의 일반 주민 중, 순환기 질환과 당뇨병 환자를 제외한 여성 약 4,304명(폐경 전 2,252명, 폐경 후 2,052명)을 대상으로 당뇨병의 신규 발병과의 관계성에 대해서 14년간 추적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폐경 전 여성에서 혈청요산 수치가 높은 그룹은 혈청요산수치가 낮은 그룹에 비해서 다변량 조정 위험비가 1.56(95% 신뢰구간은 0.77-3.16)로 나타났다.

또한, 폐경 후 여성에서 혈청 요산수치가 높은 다변량 조정 위험비는 2.00(95% 신뢰 구간은 1.19-3.34)로, 폐경 후 여성에서는 혈청 요산 수치가 당뇨병으로 이어지는 인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폐경 유무에 의한 혈청 요산 수치별 당뇨병 발병 리스크

 


이번 연구를 통해서 지금까지 관계성이 밝혀지지 않았던 여성의 폐경 전후 별 혈청 요산 수치와 당뇨병 리스크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서 정확히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의 특정 건강 진단 등에서 당뇨병 예방에의 근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갱년기 이후의 여성은 여성 호르몬으로 인한 보호작용을 잃고, 생활습관 등으로 인한 요산 수치의 상승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