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고양이에게 고양이 음식 이외의 음식을 주는 집사들도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음식 중에는 고양이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도 있기 때문에 주면 안 되는 위험한 식품에 대해 알아 두어야 합니다. 고양이에게 먹여서는 안 되는 식품 중에는 우리에게 친밀한 것에도 많은데요, 그중에 하나가 초콜릿입니다. 이번에는 고양이가 초콜릿을 먹으면 안 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에게 초콜릿을주는 것은 금물입니다.
초콜릿의 원재료인 카카오에 포함된 '테오브로민'은 고양이에게는 유해한 성분입니다. 설사나 구토, 경련, 동계나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초콜릿으로 인한 중독 증상은 대부분 초콜릿을 먹은 후 4시간 이내에 나타난다고 합니다. 공복시에 먹게되면, 흡수가 빨라져서 증상이 나올 때까지의 시간도 더욱 짧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대로, 증상도 며칠에 걸쳐서 길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므로, 괴로워하거나 이상한 모습이 보여지면 곧바로 병원에 데려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고양이에게 초콜릿의 치사량
그렇다면 도대체 얼마나 많은 양의 초콜렛을 섭취하면 죽음에 이르는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일까요? 일반적으로 체중 1kg 당 250~500mg 정도의 테오브로민을 섭취하게 되면 중독 증상을 일으킬 위험이 높다고 합니다. 테오브로민의 함유량은 초콜렛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지므로, 종류별로 소개해 보겠습니다.
・밀크 초콜릿
초콜릿 중에서 가장 인기있는 밀크 초콜릿. 밀크 초콜릿의 경우, "체중 1kg 당 10g"이 중독 증상이 나타나는 기준양이 됩니다.
・비터 초콜릿
초콜릿의 쓴맛은 카카오의 함량이 많기 때문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비터 초콜릿은 「체중 1kg당 5g」이 기준이 됩니다. 최근에는 일반 초콜릿보다 건강에 좋은 효과가 기대되어서, 카카오 함량이 높은 초콜릿이 인기 입니다만, 고양이에게는 보다더 치명적이기 때문에 집에서 고양이를 기르는 분은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밀크 초콜릿
초콜릿 중에서 가장 인기있는 밀크 초콜릿. 밀크 초콜릿의 경우, "체중 1kg 당 10g"이 중독 증상이 나타나는 기준양이 됩니다.
・비터 초콜릿
초콜릿의 쓴맛은 카카오의 함량이 많기 때문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비터 초콜릿은 「체중 1kg당 5g」이 기준이 됩니다. 최근에는 일반 초콜릿보다 건강에 좋은 효과가 기대되어서, 카카오 함량이 높은 초콜릿이 인기 입니다만, 고양이에게는 보다더 치명적이기 때문에 집에서 고양이를 기르는 분은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이트 초콜릿
부드러운 맛때문에 인기가 많은 화이트 초콜릿. 화이트 초콜릿의 경우, "체중 1kg 당 500g"이 기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포함된 카카오는 코코아 버터에 함유된 정도 이므로 일반 초콜릿보다 위험도가 현저히 낮습니다.
위의 기준은 일반적인 기준으로 개체별로, 체질에 따라서는 아주 소량을 먹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나타나 버리는 고양이도 있어서, 꼭 치사량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해도 먹게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 밖에도 초콜릿 케이크와 빵 같은 초콜릿을 사용한 음식에도 테오브로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초콜릿을 사용한 음식 뿐만이 아니라 원재료에 카카오가 사용되고 있거나, 카페인을 포함한 것은 먹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가 초콜릿을 먹었을때 대처법
만약, 고양이가 초콜릿이나 카페인이 들어간 음식을 먹어 버린 경우, 증상의 유무에 관계없이, 곧바로 병원에 데려 가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병원에 갈 수 없는 경우 병원에 전화해서 적절한 지시를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병원 진찰시에는 어떤 종류의 초콜릿을 언제 얼마나 먹었는지 등의 정보가 필요하므로 초콜릿 패키지가 있으면 가져가면 도움이 됩니다.
병원 진찰시에는 어떤 종류의 초콜릿을 언제 얼마나 먹었는지 등의 정보가 필요하므로 초콜릿 패키지가 있으면 가져가면 도움이 됩니다.
병원에서의 치료는 섭취한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때는 초콜릿을 토하게 하는 치료를 하고, 시간이 지나서 어려운 경우에는 위 세척을 합니다. 또한, 그보다 더욱 시간이 지나 버렸을때는 체외 배설과 함께 독성물질을 해독하는 것을 목표로한 치료를 하게 됩니다.
반응형
'Ben의 반려동물 > 반려묘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도 키우기 쉬운 성격의 고양이 종류 TOP 4 (0) | 2022.08.09 |
---|---|
고양이가 배를 보이며 자는 이유와 주인과의 신뢰도에 따른 행동 (0) | 2022.08.08 |
고양이의 노화에 따른 관리와 간호 방법. (0) | 2022.08.07 |
집사들의 인기 고양이 랭킹 TOP 9의 특징과 성격 (0) | 2022.08.05 |
고양이의 웃긴 표정은 플레멘 반응이 원인?! 플레멘 반응은 무엇일까요? (0) | 2022.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