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금융정책2 美 연준, 테이퍼링(tapering) 가속화 시사하다 12월 1일 (현지시간) 미연방준비제도 제롬 파월 의장이 하원 금융 서비스 위원회에서 테이퍼링(tapering) 가속화를 시사했다. 연방 준비 위원회가 지난 11월 30일(현지시간)에는 미 상원 청문회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은 것을 우려하며, 테이퍼링(tapering)을 마무리하기로 한지 2일 만의 추가적인 발표다. 이는 자금 매입을 추가적으로 축소해서 테이퍼링(tapering)을 더 빠른 시기에 끝내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11월 초 FOMC(연방공개시장 위원회) 회의 후 양적완화 규모를 축소하고, 매월 150억 달러씩 자산매입을 줄여 2022년 6월에는 채권 매입을 끝낸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시장에서는 6월 채권 매입 후 첫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필자는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 2022. 2. 9. 미국 주식의 단기간의 하락세, 걱정하지 말자. 미국주식은 아직 상승세를 이어간다. FRB의 밸런스 시트 축소 영향과 미국 주식의 향방 미국의 금융정책을 결정하는 회의(FOMC)의 12월 회의록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미 회의록을 읽거나 뉴스로 알고 있는 사람도 많다고 생각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뉴스 등에서 확인하면 되겠습니다만, 이 회의에서는 밸런스 시트의 축소에 대해 토론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회의록 발표 후에 투자자는 경계태세에 들어섰고, 주식이 폭넓게 매도되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아직 미국 주식은 걱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밸런스 시트 축소란 무엇이며 어떤 영향이 있는지, 왜 미국 주식은 아직 앞으로 최고치를 경신한다고 생각하고 있는지를 써보고자 합니다. FOMC에서는 금리 인상뿐만 아니라, 밸런스 시트의 축소가 논의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2018년 데이.. 2022. 2. 8.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